라파엘 누녜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파엘 누녜스는 1825년 콜롬비아 카르타헤나에서 태어난 콜롬비아의 정치인으로, 하원 의원, 외교관, 상원 의원을 거쳐 1880년, 1884년, 1892년에 콜롬비아 대통령을 역임했다. 그는 1886년 보수적이고 중앙집권적인 헌법 제정을 주도하여 콜롬비아의 정치 지배 기반을 다졌으며, 콜롬비아 국가의 가사를 쓰기도 했다. 누녜스는 자유주의에서 보수주의로 전향하여 '재생' 운동을 추진했으며, 1886년 헌법을 통해 중앙집권적 정부를 수립하고 가톨릭 교회의 권한을 강화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콜롬비아의 정치인 - 카를로스 홀메스 트루히요
콜롬비아의 정치인이자 외교관인 카를로스 홀메스 트루히요는 칼리 시장, 콜롬비아 교육부 장관, 미주 기구 대사, 유럽 연합 대사, 외무부 장관 등 다양한 직책을 역임하고 민주중도당을 결성하여 활동하다 2021년 코로나19로 사망했다. - 콜롬비아의 정치인 - 구스타보 페트로
구스타보 페트로는 콜롬비아의 정치인이자 경제학자로, M-19 게릴라 활동 참여, 하원 의원, 상원 의원, 보고타 시장을 역임한 후 콜롬비아 최초의 좌파 대통령으로서 농지 개혁, 친환경 에너지 전환, 사회적 불평등 해소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 콜롬비아의 대통령 - 시몬 볼리바르
시몬 볼리바르는 베네수엘라 출신의 남아메리카 독립 운동가, 군인, 정치가로서, '해방자'라는 칭호로 불리며 남아메리카 여러 국가의 독립에 기여하고 자유주의와 공화주의에 기반한 통합을 추구했으나 그란 콜롬비아 해체로 이상이 좌절된, 라틴 아메리카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중 하나이다. - 콜롬비아의 대통령 - 프란시스코 데 파울라 산탄데르
프란시스코 데 파울라 산탄데르는 콜롬비아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그란콜롬비아 부통령과 누에바그라나다 공화국 대통령을 역임하며 독립운동,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하다가 1840년 사망했다. - 1825년 출생 - 요한 슈트라우스 2세
오스트리아의 작곡가 요한 슈트라우스 2세는 아버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500곡이 넘는 왈츠와 폴카를 작곡하여 "왈츠의 왕"으로 불리며 빈 왈츠의 유행을 선도했고, 오페레타 발전에도 기여하여 그의 음악은 현재까지도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고 있다. - 1825년 출생 - 페르디난트 라살
페르디난트 라살은 19세기 독일의 법학자이자 사회주의 사상가, 정치가로서 전독일 노동자 동맹을 창설하여 독일 노동 운동에 영향을 미쳤으며, 마르크스와의 협력 및 갈등 속에서 독자적인 사회주의 노선을 추구하고 비스마르크와의 협력 가능성을 모색했으나 결투로 사망하여 사회주의 이론가이자 정치 운동가로서 논쟁적인 평가를 받는다.
라파엘 누녜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직책 | 콜롬비아의 대통령 |
임기 시작1 | 1887년 6월 4일 |
임기 종료1 | 1888년 8월 7일 |
전임자1 | 직책 신설 |
후임자1 | 카를로스 올긴 말라리노 |
임기 시작2 | 1892년 8월 7일 |
임기 종료2 | 1894년 9월 18일 |
부통령 | 엘리세오 파얀 (1887-1888) 미겔 안토니오 카로 (1892–1894) |
전임자2 | 카를로스 올긴 말라리노 |
후임자2 | 미겔 안토니오 카로 |
직책3 | 콜롬비아 합중국의 10대 및 14대 대통령 |
임기 시작3 | 1884년 4월 1일 |
임기 종료3 | 1886년 4월 1일 |
전임자3 | 호세 에우세비오 오탈로라 |
후임자3 | 직책 폐지 |
임기 시작4 | 1880년 4월 8일 |
임기 종료4 | 1882년 4월 1일 |
전임자4 | 훌리안 트루히요 라르가차 |
후임자4 | 프란시스코 하비에르 살두아 |
직책5 | 볼리바르 주권 국가의 15대 대통령 |
임기 시작5 | 1879년 |
임기 종료5 | 1880년 |
전임자5 | 벤자민 노게라 |
후임자5 | 벤자민 노게라 |
직책6 | 볼리바르 주권 국가의 12대 대통령 |
임기 시작6 | 1876년 |
임기 종료6 | 1877년 |
전임자6 | 에우헤니오 바에나 |
후임자6 | 마누엘 곤살레스 카라소 |
출생명 | 라파엘 벤세슬라오 누녜스 몰레도 |
출생일 | 1825년 9월 25일 |
출생지 | 카르타헤나 데 인디아스, 볼리바르, 콜롬비아 |
사망일 | 1894년 9월 18일 |
사망지 | 카르타헤나 데 인디아스, 볼리바르, 콜롬비아 |
안장지 | 엘 카브레로 은둔지, 카르타헤나 데 인디아스 |
국적 | 콜롬비아 |
정당 | 자유당 (1848-1886) 국민당 (1886-1894) |
배우자 | 마리아 데 로스 돌로레스 가예고스 마르티네스(1851-1872) 솔레다드 로만 폴란코 (1877-1894) |
모교 | 카르타헤나 대학교 |
직업 | 변호사 |
별칭 | 엘 레헤네라도르 |
소속 | 콜롬비아 (자유당) |
군대 | 콜롬비아 육군 |
전투 | 수프레모 전쟁 |
참고 |
2. 초기 생애
라파엘 누녜스는 카르타헤나에서 사촌인 돌로레스 가르시아 몰레도와 프란시스코 누녜스 가르시아 대령 사이에서 태어난 세 자녀 중 첫째였다. 15세에 최고 권력자 전쟁에 참전하여 프란시스코 카르모나 장군 휘하에서 복무했다.[1]
라파엘 누녜스는 15세에 최고 권력자 전쟁에 참전하면서 정치 경력을 시작했다. 혁명군 측에 가담하여 고향인 카르타헤나를 포위하는 데 참여했고, 전쟁 후 마그달레나 e 이스트모 대학교에서 법학 학위를 취득했다.[2]
누녜스의 어린 시절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지만, 1848년 파나마의 치리키 주에서 순회 판사로 복무한 것은 확실하다.[1]
3. 정치 경력
1848년, 호세 마리아 오반도 장군을 대통령 선거에서 홍보하기 위해 카르타헤나에서 ''La Democracia''라는 신문을 창간했다. 같은 해 오반도가 카르타헤나 주지사로 선출되자, 누녜스를 카르타헤나 정부 참모장으로 임명하면서 본격적인 정치 경력이 시작되었다.[2]
1853년까지 카르타헤나 정부 참모장 직책을 유지한 후, 마누엘 무리요 토로의 연방주의 및 사회주의 사상에 맞서기 위해 콜롬비아 의회 의원으로 활동했다.[3] 1854년 호세 마리아 멜로의 쿠데타 이후에는 볼리바르 부서의 주지사로 선출되어 멜로의 패배에 기여했다.
마누엘 마리아 마야리노 대통령은 1855년 누녜스를 전쟁 장관(비서)으로 임명했고, 이후 재무부 장관으로 임명했다. 누녜스는 재무부 장관으로서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여 널리 인정을 받았다. 같은 해, ''La Federación''이라는 첫 번째 정치 에세이집을 출판하기도 했다.[3]
이후 토마스 시프리아노 데 모스케라 정부에서 재무부 장관으로 재직했으며, 리오네그로 협약에 참여하여 리오네그로 헌법 제정에 기여했다. 1863년에는 국외로 떠나 뉴욕에서 콜롬비아와 스페인의 여러 신문에 기고했다. 이후 무리요 토로 대통령에 의해 르아브르와 리버풀에서 콜롬비아 영사로 근무했다.[3]
3. 1. 자유주의에서 보수주의로 전향
1880년 대통령에 당선된 후, 3번이나 대통령직을 맡았다. 누녜스는 교회 세력을 강력하게 비호하고, 1886년 보수적이며 중앙집권적인 헌법을 제정하여 1930년까지 보수파에 의한 콜롬비아 정치 지배의 기초를 닦아 놓는 등 콜롬비아를 독재적으로 통치하였다.[2]
1876년 콜롬비아로 돌아온 누녜스는 그 해 대통령 후보로 지명되었지만 선거에서 승리하지 못했다. 그러나 볼리바르 주의 상원의원으로 선출되었다. 1878년부터 1888년까지 보고타의 ''La Luz''와 ''La Nación'', 카르타헤나의 ''El Porvenir''과 ''El Impulso''에 헌법 개혁과 관련된 수백 개의 영향력 있는 기사를 썼으며, 콜롬비아 국가의 가사를 썼다.[3]
1880년부터 1882년까지 첫 대통령 임기를 수행한 누녜스는 1884년 보수당의 지지를 받아 "재생" 운동을 추진하며 대통령에 재선되었다. 그는 1884년의 ''라 레헤네라시온''('''재생''') 운동과 1886년 콜롬비아 새 헌법 제정의 배후 세력이었다.[4] 누녜스가 추진한 재생 프로그램은 리오네그로 헌법에 명시된 대부분의 자유주의 개혁에 반대했으며, 그 승리는 국가를 분권화된 연방 시스템에서 강력한 중앙 대통령직을 가진 중앙 집권 시스템으로 변화시켰다. 누녜스의 제안에 반대한 자유주의 지도자들은 1884년과 1885년에 내전을 일으켰으나, 누녜스를 지지하는 보수 세력이 1885년 자유주의 군대에 항복을 받아내면서 "여러분, 1863년 헌법은 더 이상 없습니다."라는 유명한 선언을 이끌어냈다. 이 군사적 승리 이후, 1885년 9월 10일 누녜스는 각 주권국의 대표 두 명을 소집하여 같은 해 11월 11일에 제헌 의회를 설치했다.
미겔 안토니오 카로의 협력으로 수행된 1886년 헌법 개정은 누녜스의 가장 뛰어난 정치적 업적이었다. 이 1886년 콜롬비아 헌법은 몇 차례의 수정과 함께 1991년 새로운 헌법이 선포될 때까지 효력을 유지했으며, 강력한 중앙 집권 형태의 정부를 재수립하는 것 외에도 국명을 콜롬비아 합중국에서 콜롬비아 공화국으로 변경하고, 바티칸과의 관계를 재수립했다. 또한 가톨릭을 국교로 지정하여 교육을 가톨릭 교회에 맡겼다. 헌법은 대통령 임기를 2년에서 6년으로 변경하고, 공화국 대통령 선출을 의회에 맡겼으며, 옛 주를 대통령이 임명하는 주지사가 통치하는 주로 변경하여 대통령에게 많은 권한을 부여했다.[5]
3. 2. 대통령 재임 (1880-1894)
카르타헤나에서 태어난 누녜스는 하원의원, 외교관, 상원의원 등을 거쳐 1880년 대통령이 되었다. 이후 3번이나 대통령직을 맡으며 콜롬비아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쳤다.[2]
그는 1880년부터 1882년까지 첫 임기를 수행했다. 1884년에는 보수당의 지지를 받아 "재생" 운동을 추진하며 대통령으로 재선되었다.[4] 이 운동은 리오네그로 헌법에 명시된 자유주의 개혁에 반대하는 것으로, 국가를 분권화된 연방 시스템에서 강력한 중앙 대통령직을 가진 중앙 집권 시스템으로 변화시켰다.
자유주의 세력은 누녜스의 중앙 집권적 정책에 반발하여 1884년과 1885년에 내전을 일으켰다. 그러나 보수 세력이 내전에서 승리하였고, 누녜스는 "여러분, 1863년 헌법은 더 이상 없습니다."라고 선언하며 권위주의적 통치를 강화했다.[4]
1886년, 누녜스는 미겔 안토니오 카로와 협력하여 새 헌법을 제정했다. 1886년 콜롬비아 헌법은 강력한 중앙 집권 정부를 재수립하고, 국명을 콜롬비아 합중국에서 콜롬비아 공화국으로 변경했다. 또한 바티칸과의 관계를 재수립하고 가톨릭을 국교로 지정하여 교육을 가톨릭 교회에 맡겼다. 대통령 임기를 2년에서 6년으로 변경하고, 대통령 선출을 의회에 맡기는 등 대통령에게 많은 권한을 부여했다.[4]
누녜스는 1886년과 1892년에 다시 대통령으로 재선되었으나, 1892년에는 건강 악화로 인해 대통령직을 수행하지 못하고 그의 부통령인 미겔 안토니오 카로가 대통령직을 대행했다.[5] 그는 카르타헤나로 돌아가 요양했지만, 여전히 정치적으로 중요한 인물로 남아 있었다. 많은 정치인들이 그를 방문했으며, 그의 편지와 칼럼은 여전히 큰 영향력을 가졌다. 1894년 9월 18일, 누녜스는 열병으로 사망했다.[5]
4. 1886년 헌법 제정
미겔 안토니오 카로와의 협력으로 이루어진 1886년 헌법 제정은 라파엘 누녜스의 가장 뛰어난 정치적 업적으로 평가받는다.[4] 이 1886년 콜롬비아 헌법은 몇 차례 수정되었지만, 1991년 새 헌법이 선포될 때까지 콜롬비아의 헌정 체제로 유지되었다. 1886년 헌법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강력한 중앙집권 정부 형태를 재수립했다.
- 국명을 '콜롬비아 합중국'에서 '콜롬비아 공화국'으로 변경했다.
- 바티칸과의 관계를 재수립하고 가톨릭을 국교로 지정하여, 교육을 가톨릭 교회에 위임했다.[4]
- 대통령 임기를 2년에서 6년으로 변경하고, 공화국 대통령 선출을 의회에 맡겼다.
- 기존의 주(state)를 대통령이 임명하는 주지사가 통치하는 주(department)로 변경하여 대통령에게 더 많은 권한을 부여했다.[4]
이러한 변화는 콜롬비아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1991년까지 콜롬비아의 정치 체제를 규정하는 근간이 되었다.
5. 업적 및 유산
라파엘 누녜스는 콜롬비아의 국가인 오, 불멸의 영광!을 작사했다.[8] 육군사관학교와 국립음악원을 설립했으며, 국제 전신 서비스를 시작했다. 독립 전쟁 이후 단절되었던 스페인과의 외교 관계를 복원했고, 프랑스 및 영국과 통상 및 문화 교류 조약을 체결했다.[6] 정치, 경제에 관한 저작과 여러 권의 시집을 남겼으며, 주요 저서로는 《콜롬비아에서의 정치개혁(스페인어:La Leforma politica en Colombia)》이 있다.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의 소설 《콜레라 시대의 사랑》에도 언급되었다.
5. 1. 비판 및 논란
라파엘 누녜스는 카르타헤나 출신의 정치인으로, 1880년 대통령에 당선된 후 세 차례나 더 대통령직을 맡았다. 그는 교회 세력을 강력하게 비호하고 1886년 보수적이며 중앙집권적인 헌법을 제정하여 1930년까지 보수파가 콜롬비아 정치를 지배하는 기반을 마련하는 등 콜롬비아를 독재적으로 통치하였다는 비판을 받았다.[1]6. 역대 선거 결과
선거명 | 직책명 | 대수 | 정당 | 득표율 | 득표수 | 결과 | 당락 |
---|---|---|---|---|---|---|---|
1880년 선거 | 콜롬비아 합중국의 대통령 | 11대 | 콜롬비아 자유당 | 77.77% | 7표 | 1위 | |
1884년 선거 | 콜롬비아 합중국의 대통령 | 14대 | 콜롬비아 자유당 | 66.66% | 6표 | 1위 | |
1886년 선거 | 콜롬비아의 대통령 | 1대 | 국민당 | 100.00% | 18표 | 1위 | |
1892년 선거 | 콜롬비아의 대통령 | 1대 | 국민당 | 80.30% | 2,075표 | 1위 |
참조
[1]
서적
Gobernantes Colombianos
Interprint Editors Ltd., Italgraf
1983
[2]
서적
Gobernantes Colombianos
Interprint Editors Ltd., Italgraf
1983
[3]
웹사이트
Rafael Núñez
https://enciclopedia[...]
[4]
서적
The regeneración de la raza in Colombia
University of Georgia Press
2006
[5]
서적
Gobernantes Colombianos
Interprint Editors Ltd., Italgraf
1983
[6]
서적
Gobernantes Colombianos
Interprint Editors Ltd., Italgraf
1983
[7]
서적
Gobernantes Colombianos
Interprint Editors Ltd., Italgraf
1983
[8]
웹사이트
Colombia: Himno Nacional de la República de Colombia (¡Oh gloria inmarcesible!)
http://nationalanthe[...]
NationalAnthems.me
2011-08-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